커뮤니티

칼럼
강좌
이럴땐이렇게
보도자료

  커뮤니티  

코로나19 사망자의 뇌에서 염증이?...알츠하이머병 수준으로 뇌에 악영향 (연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뇌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연구원들은 코로나19로 인해 사망한 사람들의 뇌 조직을 자세히 분석한 결과, 코로나바이러스가 뇌에 염증과 신경퇴화, 그리고 뇌 회로에 손상을 일으킨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뇌 증상

연구진은 코로나바이러스가 분자 수준에서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한 결과, 명백한 염증 징후와 손상된 뇌 회로를 발견했다. 독일 자를란트 대학과 미국 스탠포드 의과 대학의 연구진은 이러한 손상이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으로 사망한 사람들의 뇌에서 관찰된 것과 매우 흡사하다고 보고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많은 코로나19 환자들이 왜 신경학적 문제를 보고하는지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코로나19는 증상의 중증도가 심각할수록 신경 쪽에도 더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며, 이것은 만성 코로나(Long Covid) 형태로 감염 후에도 증상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 연구팀의 신경과학과 교수인 토니 위스-코레이 박사는 “감염자의 3분의 1 정도가 브레인 포그, 건망증, 집중력 저하, 피로 등을 포함한 뇌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완치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이런 증상이 지속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브레인 포그(Brain fog)란 머리에 안개가 낀 것처럼 멍한 느낌이 지속되어 생각과 표현이 어려운 상태를 의미한다. 연구진은 코로나19로 사망한 8명의 뇌와 다른 원인으로 사망한 대조군 14명의 뇌를 단세포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석했다. 놀랍게도 코로나19 감염자의 뇌 조직에서 SARS-CoV-2 바이러스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위스-코레이 박사는 “환자들이 신경 손상이 되었다는 징후는 전혀 보고되지 않았음에도 뇌에는 강한 염증의 표식을 남겼다”고 말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은 혈뇌장벽에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뇌에서 신경세포의 염증 반응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전글 :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백신 교차 접종, 아스트라제네카 2회 접종보다 효과 좋아
다음글 : 구강청결제가 코로나바이러스를 죽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