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술 증가와 함께 성형수술 부작용이 문제가 되면서 성형외과 전문의와 비전문의 구별법에 대한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전문의는 의과대학 6년을 마치고 국가고시에 합격한 뒤 인턴 1년과 레지던트 4년 과정을 거친 후 1차, 2차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으로, 의료소비자 스스로 똑똑한 환자가 되어 ‘성형외과 전문의’ 자격에 대한 확인 욕구가 커진 것이다. 이에 성형외과전문의 단체 성형포털인 성형코리아에 소개된 성형외과 전문이 구별법을 소개한다.
◇ 성형외과 전문의 구별법
1. 병·의원 간판표기 확인하기= 성형외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곳은 OO성형외과의원으로 순서변경없이 표기되어 있으며, 글자 크기가 동일하고, 글자배치도 동일 선상에 있다.
‘성형외과’라는 단어가 표기되었다고 해서 모두 성형외과 전문의라고 보면 안 된다는 뜻이다. 다음과 같이 표기된 경우는 성형외과 전문의가 아니다.
- OO의원 진료과목 성형외과
- OO클리닉 진료과목 성형외과
- OO레이저클리닉 진료과목 성형외과
- OO성형(전문)센터
- OO성형외과(작은 글씨로 표기하거나 글자의 위치가 동일 선상에 있지 않음)
2. 전문의 신분증으로 구별하기= 대한성형외과의사회에서는 2014년 11월부터 대한성형외과의사회 회원이면서 대한성형외과학회 정회원, 대한미용성형외과학회 정회원인 전문의에게 신분증을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3. 성형외과 전문의 표기 확인하기= 병원 홈페이지나 인물 정보 등에서 성형외과 전문의만이 ‘성형외과 전문의’ 표기가 허락된다. 성형외과 전문의는 OO대학병원/병원 성형외과 전공의 수료, 성형외과 전문의 취득 등으로도 표기한다.
4. 성형외과 전문의 자격증 확인하기= 보건복지부장관의 명의로 정부가 발급하는 전문의 자격증에서 종별이 성형외과로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고, 성명과 주민등록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5. 성형외과 전문의 현판 확인하기= 성형외과 전문의인 경우 대한성형외과학회 종신회원 현판, 대한성형외과의사회 현판, 대한성형외과학회 로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6. 성형외과 전문의 진료 인증 스티커 확인하기= 대한성형외과의사회와 대한성형외과학회가 인증하는 성형외과 전문의 진료 병·의원 스티커가 있다. 단, 여러 명의 원장 중 단 한 명의 성형외과 전문의가 진료해도 해당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으므로 직접 진료를 담당하는 의사에게 성형외과 전문의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7. 학회 표기 확인하기= 성형외과 전문의만이 대한성형외과학회/대한미용성형외과학회/대한성형외과의사회 정회원 자격을 가지며, 이 명칭과 다른 학회명은 성형외과 전문의를 보증하지 않는다.
8. 대한성형외과의사회 홈페이지인 성형코리아를 통해 검색하기= 성형코리아 사이트(http://www.prskorea.co.kr/)는 성형외과 전문의들이 만든 사이트로, 전국 성형외과 전문의 검색이 가능하다.
9. 대한성형외과의사회 사무실에 문의하기= 대한성형외과의사회 사무실(02-3487-8252)로 연락하여 직접 전문의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참조 = 대한성형외과의사회 성형코리아 사이트 정보>
추천 기사· 다이어트는 물론 고혈압까지, 녹차에 든 항산화제 ‘카테킨’· 몸을 움직이면 왜 ‘정신’이 건강해질까· 피로회복에 중요한 ‘잘 자는 법’은?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때, 하이닥
(www.hidoc.co.kr)